마누카꿀의 효능 7가지
면책사항
이 블로그는 지역 보건부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며 질병의 진단, 치료 또는 의학적 조언 제공의 목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 다룰 내용:
꿀은 고대 바빌로니아인과 수메르인이 남긴 수천 년 전 기록에 최초로 언급되었습니다. 오늘날 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천연 감미제이며 때론 치료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꿀은 꿀벌이 섭취한 화밀이 꿀벌 내 효소와 반응하여 만들어집니다. 꿀벌은 벌집으로 돌아가서 새로 형성된 물질, 즉 꿀을 토해내어 벌집에 저장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꿀은 아기 벌의 먹이로 사용됩니다. 양봉업자들은 아기 벌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양의 꿀을 남겨놓고 여분의 꿀을 채집합니다.
대체 의학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던 꿀은 이제 주류 의학에서도 점차 채택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운영하는 제 병원에서는 정맥류로 인해 다리에 만성 상처가 있는 환자와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에게 의료용 꿀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근의 상처 전문가들도 꿀을 종합적인 상처 관리법의 일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누카꿀의 유래는?
최적화된 면역 기능은 건강, 행복, 장수를 증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꿀은 수천 년 동안 전 세계 인이 애용해 왔으며 꿀벌 고유의 치유력으로 인해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꿀이 다 똑같은 것은 아닙니다. 일부 과학자는 마누카꿀이 특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마누카꿀은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의 피터 몰란(Peter Molan) 교수가 수행한 미생물학 연구에 힘입어 1980년대부터 과학계의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유럽꿀벌이 만들어내는 마누카꿀은 호주와 뉴질랜드에 자생하는 마누카 꽃(Leptospermum scoparium)의 화밀에서 유래합니다.
이 독특한 꿀은 단일한 꽃의 화밀로만 생산되기 때문에 단일 밀원 꿀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일부 마누카 꿀은 여러 종류의 꽃에서 채집되어 잡화 꿀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제품 라벨에 '마누카꿀'로 표시하려면 해당 꿀은 신빙성 확인을 위해 독립 기관의 검사를 거쳐야 합니다.
마누카꿀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꿀은 과당, 포도당, 아미노산, 효소, 비타민, 미네랄로 구성됩니다. 마누카꿀에는 다른 꿀에 들어 있지 않은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이라는 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마누카꿀을 포함한 대부분의 꿀에는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과 벌 디펜신-1(Bee defensin-1)이 들어 있습니다.
최근 연구는 마누카꿀이 전통의학에서 높이 인정받는 이유를 밝혀냈습니다. 마누카꿀은 항산화 효능으로 인해 상처 치유, 세포 재생을 촉진하며 위궤양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누카꿀의 효능 7가지
1. 구강 건강
전 세계적으로 구강 건강이 안 좋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치열이 좋지 않고 치아가 빠진 사람은 심장마비와 울혈성 심부전이 생길 위험이 증가합니다. 저는 환자들에게 심장 건강을 위해 치과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도록 조언합니다. 사탕이나 정제 설탕을 섭취하면서 충치 걱정을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런 경우 달콤하면서도 항균 효능을 통해 치아를 보호할 수 있는 마누카꿀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2011년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 꿀은 해로운 구강 박테리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스위스치과저널(Swiss Dental Journal)에 실린 2014년 연구에서도 마누카 꿀은 입안의 유해 박테리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마누카꿀이 함유된 천연 성분의 치약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2. 항균 효과
감염을 방지하고 병균을 퇴치하는 인체 기능을 자연적으로 돕는 방법을 찾는 것이 의학계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항생제 남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과학자들은 더 안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꿀에 항균 효능이 있다고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는 해로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죽이는 과산화수소가 꿀에 소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마누카꿀은 다양한 종류의 위험한 병균에 대항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4년 연구는 마누카꿀이 독감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연구진은 "마누카 꿀은 독감 바이러스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약용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세포 배양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꿀을 경구로 섭취할 때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2018년 연구에서는 마누카꿀을 인기 있는 다른 꿀 제품과 비교했습니다. 연구진은 마누카꿀이 다른 꿀에 비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같은 일반적인 박테리아에 대해 더 강력한 항균 특성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마누카꿀이 슈도모나스(Pseudomonas), 대장균을 억제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박테리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 혈액, 요로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3. 상처 치유
꿀을 피부 상처에 바르면 상처를 치유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꿀의 항균 특성과 보습 능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꿀을 피부에 바르면 꿀이 보호막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상처 치유와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꿀은 만성 피부 상처가 있는 사람들에게도 좋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감염이 생길 위험이 높으며 감염이 심해지면 발가락이나 발, 다리를 절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4년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드레싱에 마누카꿀을 바른 환자는 마누카꿀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보다 상처가 25% 더 빨리 치유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행된 2014년 연구에서도 마누카꿀은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심각한 당뇨병성 족부감염 및 족부궤양의 일반적인 원인균인 슈도모나스균(Pseudomonas)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4. 인후통과 기침 완화
제가 어릴 적에 감기에 걸려 콜록거리면 할머니는 꿀을 권하곤 하셨습니다. 할머니가 과학자는 아니셨지만 꿀의 효능을 제대로 알고 계셨던 것이 분명합니다.
꿀과 기침 시럽 제품의 효과를 비교한 2010년 연구에서는 감기에 걸려 기침하는 어린이에게 2.5ml의 꿀을 투여했을 때 기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연구에서도 꿀이 위약보다 감기 증상을 완화하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또한 꿀을 티스푼으로 섭취하면 목의 통증을 진정시키는 데 좋습니다.
5. 장 트러블 해소
항생제를 복용하거나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을 섭취한 경우 등 장 트러블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또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된 경우에도 위장관의 균형이 깨져 부글거림, 가스, 팽만감이 생기거나 심하면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이러한 장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지난 10년간 큰 인기를 누려왔습니다. 마누카꿀도 장 건강을 개선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살모넬라균(Salmonella)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1억 건에 달하는 장염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15만-20만 명이 사망합니다. 이러한 감염의 80%는 식품을 매개로 하여 발생합니다. 따라서 감염을 줄이려면 깨끗한 물과 식품을 섭취하고 병에 걸린 동물을 피해야 합니다. 장염 증상에는 설사, 복부 경련, 발열 등이 있습니다. 박테리아가 혈액에 침입하면 관절과 근육통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은 일주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더 오래가기도 합니다.
2011년과 2015년의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살모넬라균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살모넬라균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항생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마누카꿀을 치료법의 일부로 사용하려면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이라는 박테리아도 장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자주 복용하거나 다양한 이유로 입원하는 사람은 치명적일 수 있는 이 병균이 체내에 과도하게 증식하기 쉽습니다. 클로스트리디움으로 인한 장염은 설사, 심한 복통을 동반하며 종종 직장 출혈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클로스트리디움에 감염되어 심한 탈수증을 겪는 환자도 많습니다.
2013년 연구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은 마누카꿀에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이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으로 마누카꿀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2014년 연구에서도 마누카꿀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쥐를 이용한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결장 염증을 줄여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병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6. 위궤양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위궤양을 앓고 있으며 위염이나 속쓰림으로 고통받는 사람은 수억 명에 달합니다. 1980년대에 과학자들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라는 박테리아가 위궤양을 일으키며 항생제로 위궤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꿀로 위궤양을 치유할 수도 있습니다. 1994년 연구에 따르면 마누카꿀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2015년 연구에서는 마누카꿀이 음주로 인한 위궤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제 개인적인 조사에 따르면 이와 비교할만한 인간 대상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질환을 스스로 진단하여 치료하지 말고 언제나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7. 피부 개선
많은 사람은 피부를 매끄럽고 젊게 유지하고 싶어 합니다. 일광에 의한 손상에서 경미한 세균 감염이나 여드름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피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한 얼굴 크림을 찾는 것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누카꿀은 얼굴 피부를 가꾸기 위한 페이셜 클렌징 제품과 크림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누카꿀은 자연적인 형태로 출시될 뿐 아니라 치약, 목캔디, 얼굴 크림, 구강 스프레이 제품에도 첨가됩니다.
참고문헌:
- Hayes G, Wright N, Gardner SL, Telzrow CL, Wommack AJ, Vigueira PA. Manuka honey and methylglyoxal increase the sensi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to linezolid. Lett Appl Microbiol. 2018 Jun;66(6):491-495. doi: 10.1111/lam.12880. Epub 2018 Apr 19. PMID: 29575121.
- Antibiotics 2019, 8(4), 251; https://doi.org/10.3390/antibiotics8040251
- Holmlund A, Lampa E, Lind L. Oral heal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a cohort of periodontitis patients. Atherosclerosis. 2017 Jul;262:101-106. doi: 10.1016/j.atherosclerosis.2017.05.009. Epub 2017 May 11. PMID: 28531825.
- Badet C, Quero F. The in vitro effect of manuka honeys on growth and adherence of oral bacteria. Anaerobe. 2011 Feb;17(1):19-22. doi: 10.1016/j.anaerobe.2010.12.007. Epub 2010 Dec 31. PMID:21195787.
- Schmidlin PR, English H, Duncan W, Belibasakis GN, Thurnheer T. Antibacterial potential of Manuka honey against three oral bacteria in vitro. Swiss Dent J. 2014;124(9):922-4. PMID: 25253413.
- Johnston M, McBride M, Dahiya D, Owusu-Apenten R, Nigam PS. Antibacterial activity of Manuka honey and its components: An overview. AIMS Microbiol. 2018 Nov 27;4(4):655-664. doi:10.3934/microbiol.2018.4.655. PMID: 31294240; PMCID: PMC6613335.
- Watanabe K, Rahmasari R, Matsunaga A, Haruyama T, Kobayashi N. Anti-influenza viral effects of honey in vitro: potent high activity of manuka honey. Arch Med Res. 2014 Jul;45(5):359-65. doi:10.1016/j.arcmed.2014.05.006. Epub 2014 May 29. Erratum in: Arch Med Res. 2014 Aug;45(6):516. PMID: 24880005.
- Beena JP, Sahoo P, Konde S, Raj NS, Kumar NC, Agarwal M. Manuka Honey: A Potent Cariostatic Agent- An in vitro Study. Int J Clin Pediatr Dent. 2018 Mar-Apr;11(2):105-109. doi: 10.5005/jp-journals-10005-1494. Epub 2018 Apr 1. PMID: 29991862; PMCID: PMC6034044.
- Niaz K, Maqbool F, Bahadar H, Abdollahi M. Health Benefits of Manuka Honey as an Essential Constituent for Tissue Regeneration. Curr Drug Metab. 2017;18(10):881-892. doi:10.2174/1389200218666170911152240. PMID: 28901255.
- Kamaratos AV, Tzirogiannis KN, Iraklianou SA, Panoutsopoulos GI, Kanellos IE, Melidonis AI. Manuka honey-impregnated dressings in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diabetic foot ulcers. Int Wound J. 2014 Jun;11(3):259-63. doi: 10.1111/j.1742-481X.2012.01082.x. Epub 2012 Sep 18. PMID: 22985336.
- Alam F, Islam MA, Gan SH, Khalil MI. Honey: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managing diabetic wound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4;2014:169130. doi: 10.1155/2014/169130. Epub 2014 Oct 15. PMID: 25386217; PMCID: PMC4216698.
- Henriques AF, Jenkins RE, Burton NF, Cooper RA. The effect of manuka honey on the structure of Pseudomonas aeruginosa.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11 Feb;30(2):167-71. doi: 10.1007/s10096-010-1065-1. Epub 2010 Oct 10. PMID: 20936493.
- Shadkam MN, Mozaffari-Khosravi H, Mozayan MR.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honey, dextromethorphan, and diphenhydramine on nightly cough and sleep quality in children and their parents. J Altern Complement Med. 2010 Jul;16(7):787-93. doi:10.1089/acm.2009.0311. PMID: 20618098.
- Oduwole O, Udoh EE, Oyo-Ita A, Meremikwu MM. Honey for acute cough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8 Apr 10;4(4):CD007094. doi:10.1002/14651858.CD007094.pub5. PMID: 29633783; PMCID: PMC6513626.
-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Infect Dis 2011 Apr;30(4):569-74.doi: 10.1007/s10096-010-1121-x.Epub 2010 Dec 17.
- BMC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2015 Feb 26;15:32.doi: 10.1186/s12906-015-0549-z.
- Hammond EN, Donkor ES. Antibacterial effect of Manuka honey on Clostridium difficile. BMC Res Notes. 2013;6:188. Published 2013 May 7. doi:10.1186/1756-0500-6-188
- Hammond EN, Donkor ES, Brown CA. Biofilm forma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and susceptibility to Manuka honey.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14:329. Published 2014 Sep 3. doi:10.1186/1472-6882-14-329
- Prakash A, Medhi B, Avti PK, Saikia UN, Pandhi P, Khanduja KL. Effect of different doses of Manuka honey in experimentally 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rats. Phytotherapy Research. 2008 Nov;22(11):1511-9. doi: 10.1002/ptr.2523. PMID: 18688794.
- al Somal N, Coley KE, Molan PC, Hancock BM. Susceptibility of Helicobacter pylori to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anuka honey. J R Soc Med. 1994;87(1):9-12.
- Almasaudi SB, El-Shitany NA, Abbas AT, et 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ulcer Potential of Manuka Honey against Gastric Ulcer in Rats. Oxid Med Cell Longev. 2016;2016:3643824. doi:10.1155/2016/3643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