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문제는 면역 기능과 관련된 경우가 많습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병에 더 잘 걸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면역계가 너무 공격적이거나 잘못된 표적을 공격하면 염증이나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면역반응의 일부인 염증이 과도해지면 만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과도한 염증 자체가 노화 과정의 일부인 것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몇 가지 영양소가 면역 기능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영양소에는 균형 잡힌 염증반응에 도움이 되는 오메가3 지방, 항산화 효능을 지닌 비타민C비타민D가 있습니다.

‌‌‌‌비타민D란?

처음 발견된 이래로 비타민D는 칼슘 대사와 뼈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199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비타민D가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사실이 밝혀지기 시작했습니다.

햇볕 비타민이라는 별명을 가진 비타민D는 사실 어울리는 이름이 아닙니다. 체내에서 비타민D는 비타민이 아닌 호르몬의 전구물질인 프로호르몬(Prohormone)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음식을 통해서도 소량의 비타민D를 얻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비타민D는 햇볕과 피부의 콜레스테롤로부터 생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타민D 보충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프로호르몬 화합물인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이 만들어집니다. 이 콜레칼시페롤은 간과 신장에서 활성형 비타민D라는 호르몬으로 변환됩니다.

‌‌비타민D와 면역 기능

현재 진행 중인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D는 이전부터 알려진 뼈를 돕는 기능 외에도 많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비타민D는 백혈구가 카텔리시딘(Cathelicidin)이라는 항균성 화합물을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 내에 존재하는 이 화합물은 직접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를 죽이고 감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편 비타민D는 직접적인 항염 작용을 나타내며 과민성 면역반응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체내에서 비타민D는 유료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를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수용체는 염증 과정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비타민D는 유료 수용체를 감소시킴으로써 많은 염증세포 신호 분자를 줄입니다.

비타민D의 이러한 효과는 실제로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결핵 치료를 위한 항생제와 비타민D를 함께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염증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핵으로 인한 염증은 사망률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연구의 저자는 비타민D가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했습니다. 과도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조직 손상이 자주 발생하며 극단적인 경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비타민D의 이러한 기제는 다른 감염병을 치료하는 데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D와 호흡기 감염

비타민D와 호흡기 감염에 대한 최신 자료를 살펴보면 면역 기능을 돕는 비타민D의 잠재적 이점에 대한 유력한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비타민D 수치와 급성 상기도 감염(감기 및 독감)에 대한 연구를 평가한 최근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D가 부족한 사람은 이러한 질병에 대응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의 또 다른 메타분석에서는 감기와 독감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비타민D 보충제를 조사했습니다. 연구 저자는 비타민D 결핍이 심한 사람에게 비타민D를 보충하면 상부 호흡기 감염을 70%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비타민D 결핍이 심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에도 비타민D를 보충하면 상부 호흡기 감염 확률이 25% 감소했습니다. 이 메타분석의 저자는 이 연구가 높은 수준으로 진행되어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혔습니다. 비타민D를 하루 또는 주간 단위로 규칙적으로 섭취하지 않고 대용량으로 가끔 섭취할 경우에 개선점이 관찰되지 않은 사실은 참고할 만합니다. 

‌‌비타민D를 과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비타민D를 보충하는 경우 비타민D는 지용성이기 때문에 체내 조직에 축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비타민D를 과용하는 일도 생길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한지 알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D는 성인에게 최대 2,000IU까지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해야 적정 수치에 도달하는 환자도 많았습니다. 비타민D를 보충하려 한다면 검사를 통해 초기 수치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의 변화된 수치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충제를 섭취하면 비타민D의 혈중 농도는 서서히 상승하며 약 4-6개월 후에 안정된 상태에 도달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빨리 수치를 높이기 위해 초기에 고용량을 섭취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결론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D는 면역 기능과 관련된 일부 요소들의 균형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면역계 질환을 가진 사람은 비타민D 수치를 검사하여 비타민D 부족으로 확인되면 치료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Pawelec G, Goldeck D, Derhovanessian E. Inflammation, ageing and chronic disease. Curr Opin Immunol. 2014;29:23-28. doi:10.1016/j.coi.2014.03.007
  2. Chiang N, Serhan CN.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 network: an update on production and actions. Essays Biochem. 2020;64(3):443-462. doi:10.1042/EBC20200018
  3. Berretta M, Quagliariello V, Maurea N, et al. Multiple effects of ascorbic acid against chronic diseases: Updated evidence from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Antioxidants (Basel). 2020;9(12):E1182. Published 2020 Nov 26. doi:10.3390/antiox9121182
  4. Wheeler BJ, Snoddy AME, Munns C, Simm P, Siafarikas A, Jefferies C. A brief history of nutritional rickets. Front Endocrinol (Lausanne). 2019;10:795. Published 2019 Nov 14. doi:10.3389/fendo.2019.00795
  5. Holick MF. Cancer, sunlight and vitamin D. J Clin Transl Endocrinol. 2014;1(4):179-186. Published 2014 Oct 5. doi:10.1016/j.jcte.2014.10.001
  6. Ascherio A, Munger KL, Simon KC. Vitamin D and multiple sclerosis. Lancet Neurol. 2010;9(6):599-612. doi:10.1016/S1474-4422(10)70086-7
  7. Islam MA, Khandker SS, Alam SS, Kotyla P, Hassan R. Vitamin D status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utoimmun Rev. 2019;18(11):102392. doi:10.1016/j.autrev.2019.102392
  8. Hajjaj-Hassouni N, Mawani N, Allali F, et al. Evaluation of vitamin D status in rheumatoid arthritis and its association with disease activity across 15 countries: "The COMORA Study". Int J Rheumatol. 2017;2017:5491676. doi:10.1155/2017/5491676
  9. Abhimanyu, Coussens AK. The role of UV radiation and vitamin D in the seasonality and outcomes of infectious disease. Photochem Photobiol Sci. 2017;16(3):314-338. doi:10.1039/c6pp00355a
  10. Charoenngam N, Holick MF. Immunologic effects of vitamin D on human health and disease. Nutrients. 2020;12(7):2097. Published 2020 Jul 15. doi:10.3390/nu12072097
  11. Chung C, Silwal P, Kim I, Modlin RL, Jo EK. Vitamin D-cathelicidin axis: at the crossroads between protective immunity and pathological inflammation during infection. Immune Netw. 2020;20(2):e12. Published 2020 Feb 11. doi:10.4110/in.2020.20.e12
  12. Coussens AK, Wilkinson RJ, Hanifa Y, et al. Vitamin D accelerates resolu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during tuberculosis treatment. Proc Natl Acad Sci U S A. 2012;109(38):15449-15454. doi:10.1073/pnas.1200072109
  13. Pham H, Rahman A, Majidi A, Waterhouse M, Neale RE.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nd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16(17):3020. Published 2019 Aug 21. doi:10.3390/ijerph16173020
  14. Martineau AR, Jolliffe DA, Greenberg L, et al.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analysis. Health Technol Assess. 2019;23(2):1-44. doi:10.3310/hta23020
  15. Bhimani S, Khalid H, Khalid M, Ochani RK. Vitamin D and COVID-19: Does a deficiency point towards an unfavorable outcome?. Int J Endocrinol Metab. 2020;18(3):e107669. Published 2020 Aug 25. doi:10.5812/ijem.107669
  16. De Smet D, De Smet K, Herroelen P, Gryspeerdt S, Martens GA. Serum 25(OH)D level on hospital admission associated with COVID-19 stage and mortality [published online ahead of print, 2020 Nov 25]. Am J Clin Pathol. 2020;aqaa252. doi:10.1093/ajcp/aqaa252
  17. Entrenas Castillo M, Entrenas Costa LM, Vaquero Barrios JM, et al. "Effect of calcifediol treatment and best available therapy versus best available therapy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hospitalized for COVID-19: A pilot randomized clinical study".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20;203:105751. doi:10.1016/j.jsbmb.2020.105751
  18. Murai IH, Fernandes AL, Sales LP, et al. Effect of vitamin D3 supplementation vs placebo on hospital length of stay in patients with severe COVID-19: A multicenter,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Rxiv. 2020.11.16.20232397
  19. Manson JE, Bassuk SS, Buring JE; VITAL Research Group. Principal results of the VITamin D and OmegA-3 TriaL (VITAL) and updated meta-analyses of relevant vitamin D trials.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20;198:105522. doi:10.1016/j.jsbmb.2019.105522
  20. Arnaout A, Robertson S, Pond GR, et al. Randomized window of opportunity trial evaluating high-dose vitamin D in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2019;178(2):347-356. doi:10.1007/s10549-019-05392-9
  21. Yonaga H, Okada S, Akutsu T, Ohdaira H, Suzuki Y, Urashima M. Effect modification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by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digestive tract cancer: Post hoc analysis of the AMATERASU randomized clinical trial. Nutrients. 2019;11(10):2547. Published 2019 Oct 22. doi:10.3390/nu11102547
  22. Chandrashekara S, Patted A. Role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improving disease activity in rheumatoid arthritis: An exploratory study. Int J Rheum Dis. 2017;20(7):825-831. doi:10.1111/1756-185X.12770
  23. Camu W, Lehert P, Pierrot-Deseilligny C, et al. Cholecalciferol in relapsing-remitting M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HOLINE) [published correction appears in Neurol Neuroimmunol Neuroinflamm. 2019 Nov 15;7(1):]. Neurol Neuroimmunol Neuroinflamm. 2019;6(5):e597. Published 2019 Aug 6. doi:10.1212/NXI.0000000000000597
  24. Lima GL, Paupitz J, Aikawa NE, Takayama L, Bonfa E, Pereira RM.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juveni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for improvement in disease activity and fatigue score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Arthritis Care Res (Hoboken). 2016;68(1):91-98. doi:10.1002/acr.22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