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침에 쏘였다고 하면 통증, 발적, 부종 등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피부를 뚫고 들어가는 벌침이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통증을 일으키는 실제적인 원인은 봉독입니다.

봉독이란 무엇인가요?

봉독(아피톡신)은 투명한 산성 액체로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일벌의 특수한 분비샘에서 분비되는 이 산성 액체의 주된 목적은 포식자로부터 군집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벌침 하나에 최대 150마이크로그램의 독이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 개인의 체중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200~1500개의 벌침이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봉독은 단백질, 아미노산, 포스포리파아제 A2, 멜리틴 등 다양한 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주성분은 멜리틴입니다.

프로폴리스, 로열젤리, 봉독과 같은 꿀벌 제품을 건강 증진 및 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봉독요법이라고 합니다. 신체가 보이는 벌 알레르기 민감도를 완화하고 만성 통증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봉독요법이 활용되어 왔습니다.

봉독의 효능과 용도

연구를 통해 봉독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봉독을 임상적으로 사용하면 피부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백반증, 심상성 여드름 등)과 노화 징후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봉독이 함유된 고품질 국소용 제품을 피부 건강을 위해 사용하면 강력한 효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능

아토피 피부염은 가려움증, 통증, 피부 건조 및 갈라짐, 발진, 작은 돌기, 피부 두꺼워짐 등의 증상을 보이는 피부 질환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팔꿈치 안쪽이나 무릎 뒤쪽과 같은 피부 주름에서 보통 발생하지만 어느 부위의 피부 표면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최근 한 세계 질병 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에서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의 최대 20%, 성인의 10%가 아토피 피부염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연 결핍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봉독을 국소적으로 바르면 아토피 피부염을 겪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연구에 아토피 피부염을 겪는 136명이 참여했습니다. 4주 동안 봉독과 실크 단백질이 함유된 피부 완화제를 사용하는 군과 대조군으로 참가자를 나누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봉독 크림을 사용한 참가자들은 대조군보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치료군의 보고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해 가려움증이 덜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봉독의 국소 도포가 비만 세포의 탈과립을 막는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비만세포는 사이토카인, 헤파린, 히스타민 과립으로 이루어진 면역 세포입니다. 히스타민은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 원인입니다. 비만 세포 탈과립은 비만 세포가 히스타민을 혈류로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봉독이 비만 세포의 탈과립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로 판단하면, 봉독은 비만 세포와 관련된 다른 질환(예: 건선)에도 유용할 잠재성이 있습니다.

건선 완화 효능

건선은 피부 세포가 너무 빨리 증식하는 만성 피부 질환이자 자가면역질환입니다. 건선은 두피나 무릎, 팔꿈치, 그 외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가 비늘 모양이 되고 가려우며 피부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동반합니다.

인구의 최대 4.8%가 건선을 겪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봉독이 건선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 이중맹검 무작위 임상시험에서는 난치성 국소 판상 건선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봉독의 효과를 연구했습니다.

2년 이상 건선이 지속되고 2가지 이상의 항건선 치료가 효과가 없을 때 이를 난치성 건선이라고 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그룹, 즉 봉독 요법으로 치료받은 그룹과 위약 그룹으로 참가자를 나누었습니다. 12주 동안 건선 병변에 봉독 또는 위약을 투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봉독으로 치료받은 그룹의 92%는 모든 건선 병변이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종양괴사인자 알파(TNF-alpha)의 수치도 감소했습니다. 종양괴사인자 알파는 염증 및 세포 사멸 증가와 관련이 있는 사이토카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봉독은 항염증제로서 커큐민만큼 강력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여드름 완화 효능

임상적으로 심상성 여드름(acne vulgaris)이라고 하는 여드름은 청소년과 젊은 성인이 겪는 흔한 피부 질환입니다. 여드름은 울퉁불퉁한 민감성 돌기가 형성되고 그 속에 고름이 차는 증상을 동반합니다. 블랙헤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 피부 질환에는 염증이나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용량 비타민B12 및 B6와 같은 특정 비타민이 여드름과 관련성을 보이긴 하지만, 주로 세균, 특히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가 원인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여러 연구에서 봉독은 항균 작용으로 여드름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이중맹검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는 봉독이 함유된 화장품의 효과를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

12명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2주 동안 한 그룹은 봉독 함유 화장품을 사용했고, 다른 그룹은 봉독이 함유되지 않은 화장품을 사용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및 비염증성 여드름 병변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티트리 젤을 국소적으로 바르면 항균 작용이 일어나 여드름이 감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봉독과 티트리가 함유된 스킨케어 제품을 사용하면 여드름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피부가 젊어지는 효능

나이가 들어가면서 젊고 빛나는 피부를 유지하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나이가 들면 콜라겐이 손실되어 잔주름, 주름, 피부 처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 시험관 연구에서는 자외선으로 인해 손상된 인간의 피부 세포에 봉독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봉독은 세포 손상 복구와 콜라겐 형성 증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49세 여성 22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한 임상시험에서는 봉독 크림을 12주 동안 하루에 2회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봉독 화장품을 사용한 결과 여성들은 주름의 천체 수와 깊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흥미롭게도 달팽이 점액(달팽이가 분비하는 점액)도 주름과 잔주름 감소에 비슷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봉독과 달팽이 점액이 모두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면 피붓결 개선에 더욱 강력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봉독 효능에 대한 진실

여러 연구에서 봉독은 스킨케어를 비롯해 그 외 다양한 잠재적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온라인 봉독 후기에서 일부 근거 없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봉독이 림프계 배출을 돕거나 체중 감량에 기여하는 등 여러 다른 질환에 유익할 수 있다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림프계는 조직과 기관이 서로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조직에서 혈류로 림프액을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 깊은 복식호흡, 운동, 마사지가 림프액 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서 일부 사람들은 봉독과 림프액 배출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며 봉독 패치와 제품이 림프액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현재 시점에서 봉독이 림프액 배출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는 없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명확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임상시험이 필요합니다.

봉독 패치도 소셜미디어에서 쉽고 효과적인 체중 감량 방법으로 홍보되고 있습니다. 봉독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까요? 봉독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가 거의 또는 아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봉독의 체중 감량 효과는 입증된 바가 없습니다. 또한 봉독 체중 감량 패치를 사용하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없습니다.

봉독을 피부에 사용하는 방법

봉독의 사용은 단순히 피부에 침을 주입하는 방법에서 많은 발전을 해왔습니다. 현재는 건강한 피부 유지에 도움이 되는 크림, 세럼, 젤도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국소용 봉독 스킨케어 제품은 품질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달팽이 점액, 티트리, 콜라겐 등 잠재적으로 시너지 효과가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을 조합하면 건강하고 빛나는 피부를 지원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목적으로 봉독을 체내에 주입하는 경우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무색 독소를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곤충이 분비한 독소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부작용으로는 가벼운 가려움증, 통증, 부기 등이 있습니다. 벌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봉독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봉독은 벌이 위협에 대항할 수단으로 사용하는 강력한 독소이지만 자연의 경이로움을 담고 있습니다. 다양한 질병과 질환에 봉독이 사용되었으며, 자연스럽게 스킨케어에도 봉독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과 건선부터 여드름과 노화 방지까지 봉독이 건강한 피부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균형 잡힌 스킨케어 루틴을 추구하면서 고품질 봉독 스킨케어 제품까지 사용하면 앞으로의 세월 동안 탄력 있고 건강하며 윤기 있는 피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Khalil A, Elesawy BH, Ali TM, Ahmed OM. Bee Venom: From Venom to Drug. Molecules. 2021;26(16):4941. Published 2021 Aug 15. doi:10.3390/molecules26164941
  2. Pucca MB, Cerni FA, Oliveira IS, et al. Bee Updated: Current Knowledge on Bee Venom and Bee Envenoming Therapy. Front Immunol. 2019;10:2090. Published 2019 Sep 6. doi:10.3389/fimmu.2019.02090
  3. Isidorov V, Zalewski A, Zambrowski G, Swiecicka I.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Honey Bee Venom. Molecules. 2023;28(10):4135. Published 2023 May 17. doi:10.3390/molecules28104135
  4. El-Wahed AAA, Khalifa SAM, Elashal MH, et al. Cosmetic Applications of Bee Venom. Toxins (Basel). 2021;13(11):810. Published 2021 Nov 18. doi:10.3390/toxins13110810
  5. Gray NA, Dhana A, Stein DJ, Khumalo NP. Zinc and atopic dermat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19;33(6):1042-1050. doi:10.1111/jdv.15524
  6. Schuler CF 4th, Billi AC, Maverakis E, Tsoi LC, Gudjonsson JE. Novel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23;151(5):1145-1154. doi:10.1016/j.jaci.2022.10.023
  7. Jodidio M, Schwartz RA. Bee venom: apitherapy and more. Ital J Dermatol Venerol. 2024;159(1):4-10. doi:10.23736/S2784-8671.23.07683-1
  8. Nair PA, Badri T. Psoriasis. [Updated 2023 Apr 3].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4 Jan-.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48194/
  9. Eltaher S, Mohammed GF, Younes S, Elakhras A. Efficacy of the apitherapy in the treatment of recalcitrant localized plaque psoriasis and evalu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serum level: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J Dermatolog Treat. 2015;26(4):335-339. doi:10.3109/09546634.2014.990411
  10. Zamil DH, Perez-Sanchez A, Katta R. Acne related to dietary supplements. Dermatol Online J. 2020;26(8):13030/qt9rp7t2p2. Published 2020 Aug 15.
  11. Han SM, Lee KG, Pak SC. Effects of cosmetics containing purified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on acne vulgaris. J Integr Med. 2013;11(5):320-326. doi:10.3736/jintegrmed2013043
  12. Enshaieh S, Jooya A, Siadat AH, Iraji F. The efficacy of 5% topical tea tree oil gel in mild to moderate acne vulgari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dian J Dermatol Venereol Leprol. 2007;73(1):22-25. doi:10.4103/0378-6323.30646
  13. Kurek-Górecka A, Górecki M, Rzepecka-Stojko A, Balwierz R, Stojko J. Bee Products in Dermatology and Skin Care. Molecules. 2020;25(3):556. Published 2020 Jan 28. doi:10.3390/molecules25030556
  14. Varani J, Dame MK, Rittie L, et al. Decreased collagen production in chronologically aged skin: roles of age-dependent alteration in fibroblast function and defective mechanical stimulation. Am J Pathol. 2006;168(6):1861-1868. doi:10.2353/ajpath.2006.051302
  15. Han S.M., Hong I.P., Woo S.O., Chun S.N., Park K.K., Nicholls Y.M., Pak S.C. The beneficial effects of honeybee-venom serum on facial wrinkles in humans. Clin. Interv. Aging. 2015;10:1587–1592. doi: 10.2147/CIA.S84940.
  16. Lee H., Kyeong S., Pyo B.M., Heo Y., Goo C. Anti-wrinkle effect of PLA 2 -free bee venom against UVB-irradiated human skin cells. J. Agric. Life Sci. 2015;49:125–135. doi: 10.14397/jals.2015.49.1.125.
  17. Lim VZ, Yong AA, Tan WPM, Zhao X, Vitale M, Goh CL. Efficacy and Safety of a New Cosmeceutical Regime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nail Secretion Filtrate and Snail Egg Extract to Improve Signs of Skin Aging. J Clin Aesthet Dermatol. 2020;13(3):31-36.
  18. Zhang S, Liu Y, Ye Y, et al. Bee venom therapy: Potential mechanism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oxicon. 2018;148:64-73. doi:10.1016/j.toxicon.2018.0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