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년 동안 식품과 약재로 사용되어 온 버섯의 고유한 효능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목받는 다양한 버섯 가운데 대표적인 예로는 중국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영지버섯노루궁뎅이버섯동충하초를 들 수 있습니다.

영지버섯의 효능

가노더마 루시덤(Ganoderma lucidum)으로도 불리는 영지버섯은 중국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흔한 버섯입니다. 이 버섯은 살아 있거나 죽은 나무에서 둥글고 복잡한 선반 모양의 구조로 자랍니다. 대부분의 경우 영지버섯은 면역 기능을 강화하거나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하는 데 사용됩니다. 허브의 일종인 영지버섯에는 다당류(다양한 유형의 설탕 분자가 긴 사슬을 형성한 형태)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전구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효능이 있는 다른 성분도 많습니다.

항산화 작용

영지버섯의 다당류와 트리테르페노이드는 자유라디칼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자유라디칼은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로 인해 세포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분자입니다. 항산화제는 자유라디칼을 안정화시키는 전자를 제공해 무해한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자유라디칼을 제거합니다. 신체의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려면 항산화제가 필요합니다. 영지버섯에 함유된 성분 중에서 트리테르페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영지버섯 보충제는 항산화 효과를 통해 노화를 억제하거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영지버섯을 보충했을 때 영상 검사에서 경미한 지방간질환의 진행이 역전된 사실은 영지버섯이 간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을 따라 플라크가 형성되는 질환으로 혈관 막힘과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유라디칼은 죽상동맥경화증과 혈관 내벽 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장병으로 인한 흉통을 겪는 환자와 심장병 위험이 있는 환자가 영지버섯을 보충하면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직 연구에서 입증된 바는 없지만 이러한 효능은 심장병 환자의 죽상동맥경화증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면역 기능 증진

영지버섯에 들어 있는 다당류는 주로 면역 기능을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영지버섯에 함유된 다당류는 만성질환 환자의 면역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유사한 연구에서도 이러한 다당류는 다양한 측면에서 면역력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연구 12주 차에는 유의미한 효능을 나타내지 못했습니다.

세포 배양 및 동물 연구에 대한 문헌 검토에 따르면 영지버섯은 면역 기능을 개선하는 다양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영지버섯은 백혈구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백혈구의 기능을 증진하거나 강화했습니다. 또한 면역계에서 신호전달물질로 기능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의 발현을 조절해 면역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영지버섯이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중국 약초 혼합물인 삼묘산(San Miao San)과 함께 영지버섯을 보충하면 증상을 현저히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통증 점수는 21%, 전체 질병 점수는 18%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는 버섯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많지만, 이 연구에서는 영지버섯이 통증을 완화하고 전반적인 증상을 개선하는 등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생식기 사마귀를 일으키는 인간 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구강 감염이 발생한 사람은 영지버섯과 구름버섯을 함께 섭취한 경우 2개월 후 88%의 확률로 바이러스가 제거되었지만 대조군은 제거율이 5%에 그쳤습니다 영지버섯의 면역력 강화 효능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 추출물과 버섯 분말

많은 연구에 따르면 영지버섯은 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건의 사례 보고에 따르면 가루 버섯은 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우려를 불러일으킵니다. 전통적으로 영지버섯은 버섯차 같은 물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해 왔습니다. 영지버섯을 섭취하는 형태를 물 추출물에서 가루로 전환한 후 간독성이 발생한 환자에 대한 두 건의 사례 보고는 영지버섯 제품 전반에 대한 우려를 낳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전통적으로 권장되는 방식대로 영지버섯을 물 추출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루궁뎅이버섯의 효능

학명이 헤리시움 에리나세우스(Hericium erinaceus)인 노루궁뎅이버섯의 영어 이름은 사자의 갈기를 뜻하는 'Lion’s mane'입니다. 이러한 이름은 사자의 풍성한 갈기와 닮은 독특한 외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영지버섯과 마찬가지로 노루궁뎅이버섯은 오랜 세월 동안 중국 의학에서 소화 기능을 개선하고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다른 모든 버섯처럼 노루궁뎅이버섯은 면역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다당류를 함유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뇌와 중추신경계를 개선하는 노루궁뎅이버섯의 효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뇌 건강

우울증 및 불안: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노루궁뎅이버섯 보충제는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및 불안에 따른 증상을 개선합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과체중인 사람이 노루궁뎅이버섯을 보충하면 기분장애로 인한 우울증 및 불안 관련 증상이 개선될 뿐 아니라 수면의 질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을 보충한 모든 환자의 중증도는 중등도에서 경증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여학생의 불안을 완화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인지력 저하 및 치매: 사례 연구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은 치매의 전조 현상인 인지력 저하 증상을 완화하는 등 뇌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가벼운 인지 장애와 장기간의 우울증을 겪고 있는 86세 남성을 처음에는 약물로 치료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그다음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대체 치료제로 투여했습니다. 6개월 후 환자의 우울증과 인지력 저하 증상은 완전히 역전되었습니다.

인지 기능 저하 증상을 치료하는 데 노루궁뎅이버섯을 사용하는 소규모 임상시험이 진행되었습니다. 그 결과 치료군 환자의 71.4%는 인지 기능이 크게 개선됐지만 위약군에서 증상이 개선된 환자는 6.7%에 불과했습니다. 일본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노루궁뎅이버섯이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외의 여러 동물 연구 결과는 노루궁뎅이버섯이 인지 기능 저하 증상과 치매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임상시험은 소규모로 진행되었지만, 현재 자료에 따르면 노루궁뎅이버섯은 초기 인지 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화 기능 개선

위축성 위염은 위벽에 만성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 이 질환이 발병하면 소화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고 조직에 흉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위축성 위염 환자에게 3개월 동안 노루궁뎅이버섯 또는 위약 정제를 투여했습니다. 그 결과 노루궁뎅이버섯을 섭취한 환자의 63%는 통증이 사라졌고 이에 비해 위약군에서 통증이 없어진 환자는 3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시경을 사용해 위를 살펴보는 내시경 검사에서 노루궁뎅이버섯 섭취 그룹의 52%가 조직이 개선되는 효과를 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위약군에서는 8%만이 개선되었습니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위장관과 관련된 다른 효능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시험에 따르면 노루궁뎅이버섯은 소장과 대장에 살고 있는 유익한 장내 박테리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여러 동물 연구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이 염증성 장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온 이유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개선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이 버섯의 효능 때문일 수 있습니다.

면역 기능 증진

버섯이 면역 기능을 증진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이유는 다당류를 함유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임상시험 데이터는 아직 부족하지만 전임상 연구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의 효능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사용해 노루궁뎅이버섯의 면역 조절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분석 결과 노루궁뎅이버섯은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이 버섯이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보충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했습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노루궁뎅이버섯의 면역력 증강 효과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노루궁뎅이버섯은 면역세포 및 항체 생성 기능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노루궁뎅이버섯이 주로 소화관 전체의 면역 활동을 조절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동충하초의 효능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과 마찬가지로 동충하초도 중국 및 티베트 의학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동충하초에는 효능에 일정 정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다당류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중국 전통의학에 따르면 동충하초는 폐와 신장을 튼튼하게 하는 강장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독특한 균류입니다. 동충하초의 포자는 곤충을 숙주로 삼아 곤충 체내에서 자란 후 결국 몸에서 싹을 틔웁니다. 동충하초의 종은 다양하며 동충하초균이 자라는 곤충도 다양합니다. 그 중 코디셉스 시넨시스(Cordyceps sinensis)는 약용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동충하초 품종으로 야생의 애벌레에서 자랍니다.

동충하초는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조금씩 축적되고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항노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동충하초는 뇌 기능, 성 기능, 항산화 체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 능력 향상

원기를 향상시키고 운동 능력을 증진하는 동충하초의 효능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동충하초는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남성이 고강도 달리기를 하는 동안과 그 후에 에너지 생성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 반응을 낮출 수 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동충하초가 건강한 노인의 운동 능력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임상시험에 따르면 운동 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진 허브인 홍경천과 동충하초를 병용할 경우 고지대 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이클링 운동 능력을 높이는 동충하초의 효능에 대한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신장질환 개선

또한 동충하초는 전통적으로 신장 건강을 돕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중국에서 진행된 여러 최신 연구에서는 동충하초가 다양한 유형의 신장질환을 일정 정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에 대한 문헌 검토 결과 만성 신장질환 표준 치료와 병행해 동충하초를 사용하면 신장 기능이 개선되고 합병증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 논문 저자는 연구의 질이 대부분 낮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확대 해석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덧붙였습니다.

면역 기능 증진

다른 버섯과 마찬가지로 동충하초는 면역력을 증진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동충하초는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를 활성화하면서 백혈구 성장 인자 방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 버섯이 대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를 비롯한 면역세포의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결론

버섯은 활용성이 뛰어나며 효능도 탁월합니다. 버섯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하지만 일부 최신 연구에서 밝혀진 면역력 강화 및 항산화를 비롯한 버섯의 다양한 효능은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문헌:

  1. Chen CY, Hou CW, Bernard JR, et al. Rhodiola crenulata- and Cordyceps sinensis-based supplement boosts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after short-term high altitude training. High Alt Med Biol. 2014;15(3):371-379. doi:10.1089/ham.2013.1114
  2. Chen J, He X, Song Y, Tu Y, Chen W, Yang G. Sporoderm-broken spores of Ganoderma lucidum alleviates liver injury induced by DBP and BaP co-exposure in rat. Ecotoxicol Environ Saf. 2022;241:113750. doi:10.1016/j.ecoenv.2022.113750
  3. Chen PX, Wang S, Nie S, Marcone M. Properties of Cordyceps Sinensis: a review. J Funct Foods. 2013;5(2):550-569. doi:10.1016/j.jff.2013.01.034
  4. Chen S, Li Z, Krochmal R, Abrazado M, Kim W, Cooper CB. Effect of Cs-4 (Cordyceps sinensis) on exercis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subject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 Altern Complement Med. 2010 Jul;16(7):787-93. doi:10.1089/acm.2009.0311.
  5. Chen X, Hu ZP, Yang XX, et al. Monitoring of immune responses to a herbal immuno-modula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 Int Immunopharmacol. 2006;6(3):499-508. doi:10.1016/j.intimp.2005.08.026
  6. Chiu HF, Fu HY, Lu YY, et al. Triterpenoids and polysaccharide peptides-enriched Ganoderma lucidum: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of its antioxidation and hepatoprotective efficacy in healthy volunteers. Pharm Biol. 2017;55(1):1041-1046. doi:10.1080/13880209.2017.1288750
  7. Cör Andrejč D, Knez Ž, Knez Marevci M.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tumor, antifungal, antiviral, anti-inflammatory, and nevro-protective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 an overview. Front Pharmacol. 2022;13:934982. Published 2022 Jul 22. doi:10.3389/fphar.2022.934982
  8. Donatini B. Control of oral human papillomavirus (HPV) by medicinal mushrooms, Trametes versicolor and Ganoderma lucidum: a preliminary clinical trial. Int J Med Mushrooms. 2015;17(7):609-618. doi:10.1615/intjmedmushrooms.v17.i7.10
  9. Earnest CP, Morss GM, Wyatt F, et al. Effects of a commercial herbal-based formula on exercise performance in cyclists. Med Sci Sports Exerc. 2004;36(3):504-509. doi:10.1249/01.mss.0000125157.49280.af
  10. Gao Y, Zhou S, Jiang W, Huang M, Dai X. Effects of ganopoly (a Ganoderma lucidum polysaccharide extract) on the immune functions in advanced-stage cancer patients. Immunol Invest. 2003;32(3):201-215. doi:10.1081/imm-120022979
  11. Guo WL, Cao YJ, You SZ, et al. Corrigendum to "Ganoderic acids-rich ethanol extract from Ganoderma lucidum protects against alcoholic liver injury and modulates intestinal microbiota in mice with excessive alcohol intake" [Curr. Res. Food Sci. 5(2022) 515-530]. Curr Res Food Sci. 2022;5:1108-1109. Published 2022 Jul 14. doi:10.1016/j.crfs.2022.07.001
  12. Inanaga K. Marked improvement of neurocognitive impairment after treatment with compounds from Hericium erinaceum: a case study of recurrent depressive disorder. Personalized Med Uni. 2014;3:46-48.
  13. Ji DB, Ye J, Li CL, Wang YH, Zhao J, Cai SQ. Antiaging effect of Cordyceps sinensis extract. Phytother Res. 2009;23(11):1543-1548. doi:10.1002/ptr.2795
  14. Koh JH, Yu KW, Suh HJ, Choi YM, Ahn TS.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by an orally administered decoction from cultured mycelia of Cordyceps sinensi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2;66(2):407-411. doi:10.1271/bbb.66.407
  15. Li EK, Tam LS, Wong CK,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Ganoderma lucidum (lingzhi) and San Miao San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Arthritis Rheum. 2007;57(7):1143-1150. doi:10.1002/art.22994
  16. Improving effects of the mushroom Yamabushitake (Hericium erinaceus)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Phytother Res. 2009;23(3):367-372. doi:10.1002/ptr.2634
  17. Mori K, Obara Y, Moriya T, Inatomi S, Nakahata N.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on amyloid β(25-35) peptide-induced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n mice. Biomed Res. 2011;32(1):67-72. doi:10.2220/biomedres.32.67
  18. Nagano M, Shimizu K, Kondo R, et al. Redu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by 4 weeks Hericium erinaceus intake. Biomed Res. 2010;31(4):231-237. doi:10.2220/biomedres.31.231
  19. Nagata A, Tajima T, Uchida M. Supplemental anti-fatigue effects of Cordyceps sinensis (Tochu-Kaso) extract powder during three stepwise exercise of human. Japanese Journal of Physical Fitness and Sports Medicine. 2006;55:S145-S152. doi:10.7600/jspfsm.55.S145
  20. Okamura H, Tsuda A. The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Amyloban® 3399) on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 pilot study. Personalized Med Uni. 2015;4:76-78. https://doi.org/10.1016/j.pmu.2015.03.006
  21. Parcell AC, Smith JM, Schulthies SS, Myrer JW, Fellingham G. Cordyceps Sinensis (CordyMax Cs-4) supplementation does not improve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Int J Sport Nutr Exerc Metab. 2004;14(4):443–460. doi: 10.1123/ijsnem.14.4.443.
  22. Ratto D, Corana F, Mannucci B, et al. Hericium erinaceus improves recognition memory and induces hippocampal and cerebellar neurogenesis in frail mice during aging. Nutrients. 2019;11(4):708. Published 2019 Mar 27. doi:10.3390/nu11040708
  23. Ren L, Zhang J, Zhang T.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Ganoderma on immune effector cells. Food Chem. 2021;343:128397. doi:10.1016/j.foodchem.2020.128397
  24.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by oral intake of Hericium erinaceus. Biomed Res. 2019;40(4):125-131. doi:10.2220/biomedres.40.125
  25. Sargowo D, Ovianti N, Susilowati E, et al. The role of polysaccharide peptide of Ganoderma lucidum as a potent antioxidant against atherosclerosis in high risk and stable angina patients. Indian Heart J. 2018;70(5):608-614. doi:10.1016/j.ihj.2017.12.007
  26. Sheng X, Yan J, Meng Y,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s of Hericium erinaceus derived polysaccharides are mediated by intestinal immunology. Food Funct. 2017;8(3):1020-1027. doi:10.1039/c7fo00071e
  27. Tsai-Teng T, Chin-Chu C, Li-Ya L, et al. Erinacine A-enriched Hericium erinaceus mycelium ameliorates Alzheimer's disease-related pathologies in APPswe/PS1dE9 transgenic mice. J Biomed Sci. 2016;23(1):49. Published 2016 Jan 27. doi:10.1186/s12937-016-0128-2
  28. Tsuk S, Lev YH, Rotstein A, Zeev A, Carasso R, Steiner G. effects of a commercial supplement of Ophiocordyceps sinensis and Ganoderma lucidum on physiological responses to maximal exercise in healthy young participants. Int J Med Mushrooms. 2018;20(4):359-367. doi:10.1615/IntJMedMushrooms.2018025989
  29. Vigna L, Morelli F, Agnelli GM, et al. Hericium erinaceus Improves Mood and Sleep Disorders in Patients Affected by Overweight or Obesity: Could Circulating Pro-BDNF and BDNF Be Potential Biomarker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9;2019:7861297. Published 2019 Apr 18. doi:10.1155/2019/7861297
  30. Wanmuang H, Leopairut J, Kositchaiwat C, Wananukul W, Bunyaratvej S. Fatal fulminant hepatitis associated with Ganoderma lucidum (Lingzhi) mushroom powder. J Med Assoc Thai. 2007;90(1):179-181.
  31. Wicks SM, Tong R, Wang CZ,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Ganoderma lucidum in healthy subject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m J Chin Med. 2007;35(3):407-414. doi:10.1142/S0192415X07004928
  32. Xie XQ, Geng Y, Guan Q, et al. Influence of Short-Term Consumption of Hericium erinaceus on Serum Biochemical Markers and the Changes of the Gut Microbiota: A Pilot Study. Nutrients. 2021;13(3):1008. Published 2021 Mar 25. doi:10.3390/nu13041070
  33. Xu CP, Liu WW, Liu FX, et al. A double-blind study of effectiveness of Hericium erinaceus pers therapy on chronic atrophic gastritis. A preliminary report. Chin Med J (Engl). 1985;98(6):455-456.
  34. Yang Y, Li J, Hong Q, Zhang X, Liu Z, Zhang T. Polysaccharides from Hericium erinaceus fruiting bodie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immunomodulatory activity and mechanism. Nutrients. 2022;14(18):3721. Published 2022 Sep 9. doi:10.3390/nu14183721
  35. Yoon TJ, Yu KW, Shin KS, Suh HJ. Innate immune stimulation of exo-polymers prepared from Cordyceps sinensis by submerged culture. Appl Microbiol Biotechnol. 2008;80(6):1087-1093. doi:10.1007/s00253-008-1607-y
  36. Zhang HW, Lin ZX, Tung YS, et al. Cordyceps sinensi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reating chronic kidne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Published 2019 Jun 18. doi:10.1002/14651858.CD012941.pub2
  37. Zhu M, Chang Q, Wong LK, Chong FS, Li RC. Triterpene antioxidants from Ganoderma lucidum. Phytother Res. 1999;13(6):529-531. doi:10.1002/(sici)1099-1573(199909)13:6<529::aid-ptr481>3.0.co;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