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버섯이란?

차가버섯(이노노투스 오블리쿠스, Inonotus obliquus)은 러시아, 시베리아, 유럽, 캐나다와 미국 및 동아시아 북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약용 버섯입니다. 이 버섯은 일부 자작나무류(Betula spp.)에서 주로 서식하며 너도밤나무, 참나무, 오리나무, 물푸레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낙엽수에서도 자랄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이러한 나무의 줄기에서 불에 탄 딱딱한 덩어리 같은 형상으로 자라난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목질 균핵체입니다. 

어두운 색깔을 띠는 차가버섯의 목질 껍질 아래에는 항산화제가 가득한 밝은 적갈색의 버섯 내부가 있습니다. 엄밀히 말해 차가버섯은 버섯이 아니지만, 버섯과 같은 균류이기 때문에 약용 버섯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통적 용도

차가버섯은 시베리아, 러시아, 스칸디나비아 지역과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민간요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전통의학 체계에서 차가버섯은 다양한 치유 효과를 발휘하는 약재로 인정받았습니다. 전통적으로 시베리아 원주민들은 차가버섯을 수명 연장, 소화불량 개선, 감기 및 호흡기 감염 완화 등의 용도로 사용했으며, 피부 질환을 치유하기 위해 피부에 바르기도 했습니다.

차가버섯은 갈아서 고운 분말로 가공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적으로는 나 탕약으로 만듭니다. 오늘날 차가버섯은 차, 팅크, 분말, 캡슐 형태로 출시됩니다. 차가버섯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약용 버섯 배합물을 만들 때 추가하기도 합니다. 분말 형태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인 버섯 혼합물은 음료에 타서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천연 강장제로 높은 평가를 받고 전반적인 건강과 질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들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날 전통적인 지식을 활용하는 연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차가버섯의 다양한 효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영양 성분

차가버섯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이는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합니다. 차가버섯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당류

차가버섯은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다당류인 베타글루칸(Beta-glucan)이 풍부합니다. 이 물질은 대식세포 및 T세포 같은 면역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감염 및 질병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베타글루칸은 영지버섯잎새버섯 같은 다른 약용 버섯과 귀리해초류해조류에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항산화제

차가버섯은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같은 항산화제의 우수한 공급원입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체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와 글루타치온(Glutathione)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베툴린산

자작나무에서 자라는 차가버섯은 나무로부터 베툴린산을 얻어 축적할 수 있습니다. 여러 전임상 연구에 따르면 베툴린산은 염증과 종양을 억제하는 유망한 물질일 수 있습니다.

멜라닌

차가버섯이 어두운 색깔을 띠는 이유는 멜라닌(Melanin) 함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멜라닌은 항산화제 역할을 하며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인체에서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인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외선은 피부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피부암과 노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티로신(Tyrosine)과 구리 같은 영양소는 멜라닌을 생성하는 데 중요합니다.

효능

1. 면역계 조절

차가버섯은 베타글루칸을 비롯한 다당류 덕택에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물질은 면역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촉진하여 감염을 억제하는 신체 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베타글루칸은 선천성 면역 체계의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면역세포는 병원체에 대한 일차 방어선으로 기능하며, 면역 체계가 침입하는 미생물에 대한 특정 항체를 만들기 전에 미생물과 싸워 감염을 억제합니다. 또한 차가버섯은 면역세포가 서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학적 전달자인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2. 염증 감소

염증은 많은 만성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임상 연구에 따르면 차가버섯에 풍부한 베툴린산은 항염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가버섯이 베툴린산 함량이 높기 때문에 염증성 질환을 다스리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차가버섯에는 염증으로 인한 산화적 손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항산화 및 항염 물질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3. 천연 강장제 역할

전통의학에서 차가버섯은 활력과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버섯은 강력한 천연 강장제입니다. 강장제는 인체가 스트레스 요인에 적응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물질을 말합니다. 

차가버섯은 아슈와간다나 홍경천 같은 인기 있는 강장제만큼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역사적, 전통적으로 인체가 환경의 요구에 따라 반응하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최근 동물 연구에 따르면 차가버섯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처했을 때 인체의 생리적 반응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억제

면역력을 강화하는 차가버섯의 효능 외에 항바이러스 및 항균 특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차가버섯 추출물은 특정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최근 한 컴퓨터 모델 기반 연구에서는 베타글루칸, 베툴린산, 기타 다당류를 비롯한 차가버섯의 다양한 성분이 SARS-CoV-2 바이러스와 인간세포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가버섯이 다양한 병원체에 대해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차가버섯은 미생물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증진하는 효능이 있어 침입하는 병원균에 대한 신체 반응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혈당 및 신진대사 균형 유지

동물 연구에 따르면 차가버섯에 들어 있는 다당류는 혈당 조절 기능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차가버섯의 다당류를 섭취한 쥐는 공복 혈당이 향상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른 동물 모델 연구에 따르면 차가버섯 다당류는 총 콜레스테롤,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줄이면서 심장을 보호하는 HDL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가 인간에게도 나타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연구 결과가 긍정적임을 고려할 때 차가버섯이 신진대사, 혈당,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6. 상승작용

차가버섯은 영지버섯표고버섯동충하초노루궁뎅이버섯 등 강장 작용을 하는 다른 약용 버섯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용 버섯 또는 약용 균류는 유형에 따라 특성과 성분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들을 배합하면 다양한 종의 버섯이 서로를 보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차가버섯은 사람에 따라 에너지를 증진하는 효능을 나타내고 영지버섯은 진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 둘을 함께 사용하면 두 버섯의 효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약용 버섯에는 강력한 면역 조절 물질이 함유된 경우가 많으므로 여러 유형의 버섯을 병용하면 면역력 강화를 위한 의료 계획을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부작용

차가버섯은 적정량으로 섭취하면 대부분의 경우 안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중요 사항과 위험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혈액을 희석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같은 약물과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 희석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차가버섯을 섭취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또한 차가버섯은 혈당을 낮출 수 있으므로 당뇨병 치료를 위한 약물이나 보충제를 사용하는 사람은 차가버섯을 섭취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차가버섯은 옥살산을 함유하여 신장 문제를 일으키거나 신장 결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장 결석 또는 신장 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은 차가버섯을 섭취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어떤 사람은 차가버섯에 알레르기가 있어 섭취 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내약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음에는 저용량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가버섯을 처음 섭취하는 경우라면 특히 그렇습니다.

차가버섯은 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흡수하여 축적할 수 있습니다. 차가버섯의 품질과 순도는 브랜드와 원산지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성과 효능이 보장되는 제품을 원한다면 평판이 좋은 업체에서 공급하는 차가버섯 보충제 또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속 가능성

차가버섯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과잉 수확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차가버섯은 비교적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과도하게 수확하기 쉽습니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서식하는 생태계가 교란될 위험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차가버섯의 장기적인 가용성을 보장하고 산림 생태계의 섬세한 균형을 지키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수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임감 있는 수확 방법을 사용하고 수확량을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며 차가버섯의 자연적인 성장 주기를 고려한다면 미래 세대를 위해 이 귀중한 약재를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차가버섯은 지난 수백 년에 걸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이 약용 버섯은 면역 기능 증진, 염증 완화, 항산화제 증가 등 광범위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전임상 연구에서 차가버섯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능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고무적이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효능을 확실하게 입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1. Lee M.W., Hur H., Chang K.C., Lee T.S., Ka K.H., Jankovsky L.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Mycobiology. 2008;36:199–202.
  2. Lu Y, Jia Y, Xue Z, Li N, Liu J, Chen H. Recent Developments in Inonotus obliquus (Chaga mushroom) Polysaccharides: Isol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 Polymers (Basel). 2021 Apr 29;13(9):1441.
  3. Niu H., Song D., Mu H.B., Zhang W.X., Sun F.F., Duan J.Y. Investigation of three lignin complexes with antioxidant and immunological capacities from Inonotus obliquus. Int. J. Biol. Macromol. 2016;86:587–593.
  4. Géry A, Dubreule C, André V, Rioult JP, Bouchart V, Heutte N, Eldin de Pécoulas P, Krivomaz T, Garon D. Chaga ( Inonotus obliquus), a Future Potential Medicinal Fungus in Oncology? A Chemical Study and a Comparison of the Cytotoxicity Against Human Lung Adenocarcinoma Cells (A549) and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BEAS-2B). Integr Cancer Ther. 2018 Sep;17(3):832-843.
  5. Fulda S. Betulinic Acid for cancer treatment and prevention. Int J Mol Sci. 2008 Jun;9(6):1096-1107. 
  6. Xu L., Yu Y.F., Sang R., Ge B.J., Wang M., Zhou H.Y., Zhang X.M. Inonotus obliquus polysaccharide protects against adverse pregnancy caused by Toxoplasma gondii infection through regulating Th17/Treg balance via TLR4/NF-kappa B pathway. Int. J. Biol. Macromol. 2020;146:832–840.
  7. Kang J. H., Jang J. E., Mishra S. K., Lee H. J., Nho C. W., Shin D., et al. (2015). Ergosterol Peroxide from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by Down-Regulation of the β-catenin Pathway in Colorectal Cancer. J. Ethnopharmacol. 173, 303–312. 
  8. Arata S, Watanabe J, Maeda M, Yamamoto M, Matsuhashi H, Mochizuki M, Kagami N, Honda K, Inagaki M. Continuous intake of the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aqueous extract suppresses cancer progression and maintains body temperature in mice. Heliyon. 2016 May 12;2(5):e00111.
  9. Lemieszek MK, Langner E, Kaczor J, Kandefer-Szerszeń M, Sanecka B, Mazurkiewicz W, Rzeski W. Anticancer effects of fraction isolated from fruiting bodies of Chaga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Pers.:Fr.) Pilát (Aphyllophoromycetideae): in vitro studies. Int J Med Mushrooms. 2011;13(2):131-43.
  10. Glamočlija J, Ćirić A, Nikolić M, Fernandes Â, Barros L, Calhelha RC, Ferreira IC, Soković M, van Griensven LJ.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aga (Inonotus obliquus), a medicinal "mushroom". J Ethnopharmacol. 2015 Mar 13;162:323-32.
  11. Eid JI, Al-Tuwaijri MM, Mohanty S, Das B.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polysaccharides exhibit genoprotective effects in UVB-exposed embryonic zebrafish (Danio rerio) through coordinated expression of DNA repair genes. Heliyon. 2021 Feb 4;7(2):e06003. 
  12. Wang J, Wang C, Li S, Li W, Yuan G, Pan Y, Chen H. Anti-diabetic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polysaccharides in streptozotocin-induced type 2 diabetic mice and potential mechanism via PI3K-Akt signal pathway. Biomed Pharmacother. 2017 Nov;95:1669-1677.
  13. Yang M, Hu D, Cui Z, Li H, Man C, Jiang Y. Lipid-Lowering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Polysaccharide In Vivo and In Vitro. Foods. 2021; 10(12):3085. 
  14. Hyun KW, Jeong SC, Lee DH, Park JS, Lee J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peptide from the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Peptides. Jun 2006;27(6):1173-1178.
  15. Kwon O, Kim Y, Paek JH, Park WY, Han S, Sin H, Jin K. Chaga mushroom-induced oxalate nephropathy that clinically manifested as nephrotic syndrome: A case report. Medicine (Baltimore). 2022 Mar 11;101(10):e28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