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아세틸 L-시스테인(NAC) 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에서 추출한 강력한 항산화제 입니다. 의사들은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을 과다 복용한 사람을 치료하는 데 NAC를 흔히 사용하지만, NAC 또는 그 전구체인  글루타치온 에는 또 다른 건강상 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원들이 특별히 관심을 보이는 분야 중 하나는 면역체계에 대한 NAC의 효과입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NAC를 섭취하면 몸에서 안정성이 떨어지는 글루타치온으로 바뀌게 됩니다. 글루타치온은 글리신, 시스테인,  글루탐산으로 이루어진  아미노산입니다. 글루타치온은 사람을 포함한 동식물, 곰팡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산화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글루타티온은 우리 몸이  비타민E 와 비타민C를 재활용하도록 도와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높은 글루타치온 혈중 농도는 특히 노인의 질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이 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혈중 글루타치온 농도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만으로 부족하다면 보충제 섭취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황이 풍부한 채소 및 과일:

  • 아보카도
  • 브로콜리
  • 양배추
  • 콜리플라워
  • 마늘
  • 그레이프푸르트
  • 케일
  • 양파
  • 토마토

닭고기, 칠면조, 요구르트, 치즈, 달걀, 해바라기 씨, 콩과식물 등 시스테인이 풍부한 식품도 혈중 글루타치온 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NAC 는 글루타티온 농도를 높이기 위해 흔히 섭취하는 영양 보충제입니다.  글루타치온 보충제를 추가로 섭취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NAC/글루타치온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죠.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면역체계 및 감염

우리 몸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의 위험한 병원체를 퇴치하려면 건강한 면역체계가 필요합니다. 선천성 면역뿐만 아니라 후천성 면역에도 의존하는 면역체계 건강은 운동, 수면 습관,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글루타치온 은 면역체계를 튼튼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증거도 있죠. 연구에 따르면 간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글루타치온은 백혈구, 또는 림프구가 항상 감염과 질병에 맞서 싸울 준비를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2011년 연구에서는 낮은 글루타치온 혈중 농도가 다음 질환들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 급성 폐 손상/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 만성 기관지염
  • 만성 폐쇄성 폐질환
  • 낭포성 섬유증
  • 특발성 폐섬유증
  • 각종 세균 및 진균 감염 

황과 시스테인이 풍부한 음식을 포함한 식사는 체내 글루타티온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식사만으로는 글루타치온 농도를 높이기에 부족하다면 보충제를 섭취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호흡기 건강

폐기종과 만성 기관지염을 포함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흡연 때문에 흔히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이러한 염증성 폐질환을 앓는 사람들의 호흡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의약품들이 있긴 하지만, 아직도 더 자연적인 치료 방법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NAC 등의 보충제와 함께 처방약을 먹는 경우가 흔합니다.  NAC 는 경구용 보충제 형태로 섭취할 수 있지만, 전문 약국에서 조제한 경구용 용액을 흡입기(네뷸라이저)에 넣어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NAC는 병약자의 폐에서 생성될 수 있는 과도한 양의 점액을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하며, 2013년 Chest(체스트) 학술지에 실린 연구에서도 COPD 환자의 폐에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습니다. 2016년 호흡기 의학 학술지(Respiratory Medicine)에 실린 연구에서는 "NAC는 항균 특성이 양호하며 생물막 형성을 방해하고 파괴하는 능력이 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나 해당 연구원들에 따르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2014년 연구에서는 NAC가 COPD 악화 위험을 줄이고 소기도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에 관해 논했습니다. 2016년 호흡기 의학 전문가 리뷰(  Expert Review of Respiratory Medicine)에서는 NAC를 하루에 1200mg 이상 섭취하면 COPD 환자의 급성 악화 예방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중요한 결론이 나왔는데, 만성 폐질환 환자는 급성 발작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죠. 아울러 연구원들은 하루에 600mg을 섭취하면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안정에 충분히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2015년과 2018년 연구에서는 경구용 또는 흡입용 NAC가 폐질환 환자에게 유의미한 도움이 된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보고된 유해성은 없으므로 시험해 보고 싶다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효과가 있다면 계속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효과가 없다면, 바로 사용을 중단하세요. 

간 건강

간은 우리 몸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주요 기관으로 잠재적으로 위험한 화학물질(농약, 알코올, 약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NAC 는 특히 아세트아미노펜 (파라세타몰), 알코올, 기타 환경 화학물질 등의 독소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우리 몸이 세포 내 글루타치온농도를 높여 간의 화학물질 해독을 돕는 작용을 합니다.

만성 통증 때문에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파라세타몰)을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분들은 이러한 약을 상습적으로 먹으면 간에 더 큰 부담을 주고 글루타티온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NAC나 N-아세틸 시스테인 섭취를 고려해야 합니다.

심장 건강

심장질환은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입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나라에서 전통 식습관 대신에 서구식 생활습관을 받아들이면서 심장질환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미국에서만 심혈관 질환이 매년 약 1백만 명의 목숨을 헛되이 앗아가고 있죠. 심근경색과 그로 인한 심장 손상은 심장질환 때문에 발생합니다. 

당뇨병과 혈당 상승도 심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심근경색 위험을 높입니다. 2016년 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피험 대상에 NAC를 보충하면 '설탕이 유발하는 심장 손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는 NAC가 당뇨병 환자의 심장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죠. 

2018년 쥐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NAC가 심장에 공급되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같은 해에 시행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NAC가 심근경색으로부터 심장 조직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도 밝혀졌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8년 연구에서는 특히 비후성 심근병증(HCM)이라는 심장 비대증이 있는 환자를 평가했습니다.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성(性) 맞춤, 위약-대조군 방식으로 진행된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에게 위약 또는 하루 2400mg의 NAC를 투여했습니다. 12개월 동안 진행된 연구에서 환자 29명은 NAC를 섭취한 반면 13명은 위약군에 속했습니다. 연구원들은 약간의 개선이 있었다고 결론지었지만, 연구에 참여한 환자 수가 제한된 탓에 확고한 결론은 내지 못했습니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NAC 가 암 치료에 사용하는 화학요법제의 부작용으로부터 쥐 심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중요: 암 치료를 받고 있다면 보충제를 섭취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신 건강

불안증, 우울증, 조현병 등의 정신 건강 관련 질환은 환자, 가족, 지역사회 모두가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최상의 정신건강과 웰빙을 도모하려면 식습관과 운동이 매우 중요하며, 의사들은 화학적 불균형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을 종종 처방합니다. 이러한 처방약은 자주 도움이 되지만, 부작용에 대한 염려 때문에 의사가 권장하는 약을 먹지 않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천연 요법을 찾는 경우도 흔하며, NAC가 널리 사용되죠. NAC가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18년 연구에서는 NAC가 양극성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으며, 2016년 연구에 따르면 NAC를 통상적인 조현병 치료제와 함께 섭취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위 연구와 별개로 시행한 2018년 연구에서도 조현병 환자들을 평가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임상시험 방식으로 12주 동안 진행됐습니다. 연구 목표는 기존 조현병 치료약과 함께 추가로 섭취하는 N-아세틸시스테인(NAC) 1200mg 또는 위약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총 84명의 만성 조현병 환자들을 연구했습니다. 위약을 복용한 환자군과 비교했을 때 NAC를 섭취한 환자에게는 전반적인 개선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2017년 Psychological Medicine(정신의학 학술지)에 실린 연구에서는 "NAC를 치료제로 사용한 집단에서는 위약군과 비교했을 때 작업 기억의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으므로 NAC는 정신증 환자의 인지 능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생식 능력

생식 능력 문제는 전 세계에서 수천만 명이 겪는 흔한 문제입니다. 원인은 다양하며, 남녀 모두에게 발생합니다. NAC 는 항산화제 함량 덕분에 생식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불임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입니다. 다행히 이 질환은 식습관과 생활습관 때문에 종종 발생하므로 체중 감량을 비롯한 적절한 변화를 꾀하면 임신 성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2017년 연구에 따르면 PCOS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클로미펜(clomiphene)과 함께 NAC를 섭취하면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주의: 보충제를 섭취하기 전에는 항상 먼저 의사와 상의하세요. 

2020년 연구에서는 또 하나의 대표적인 PCOS 치료제 메트포르민(metformin)을 NAC와 비교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 NAC는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여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습니다. 연구원들은 NAC를 메트포르민의 대체재로 고려할 수도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두 집단에서 임신율은 비슷했습니다.

2019년 연구에서는 정자 질이 떨어지는 남성들에게 어느 정도 희망을 주는 결과도 나왔습니다. 해당 연구에서 정자 수와 활력이 모두 개선되었으며, 연구원들은 “NAC 를 보충하면 생식 능력이 없는 남성의 정자 매개변수와 산화/항산화 상태가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혈당 조절

전 세계 당뇨병 환자 수는 4억 2200만 명에 달합니다. 이들 중 거의 대부분(90~95%)이 부실한 식사와 신체 활동 제약 등 생활습관 요인 때문에 주로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죠. 제1형 당뇨병은 일단 발병하면 막을 수 없으며 면역체계가 췌장을 잘못 공격하여 췌장이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서 생깁니다. 

2018년 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rugs(미국 심혈관 약물 학술지)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NAC 를 보충한 당뇨병 환자자에서 심장 보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연구원들은 "NAC는 산화 스트레스 억제를 통해 심근경색 위험이 있는 당뇨병성 심장을 보호하는 강력한 잠재력을 보여준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2019년 약리학 연구 학술지(Pharmacological Research)에 실린 논문에서는 NAC가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전단계,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인슐린 감수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음을 입증하는 증거를 논했습니다. 

당뇨병 보조제는 당뇨병 환자 일부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혈당 조절의 기본은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바꾸는 것입니다. 당뇨병이 있는 분들은 담당 의사와의 상의 없이는 절대 함부로 약을 끊어서는 안 됩니다.

참고문헌:

  1. Julius M, Lang CA, Gleiberman L, Harburg E, DiFranceisco W, Schork A. Glutathione and morbidity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elderly. J Clin Epidemiol. 1994;47(9):1021–1026. doi:10.1016/0895-4356(94)90117-1Dröge W, Breitkreutz R. Glutathione and immune function. Proc Nutr Soc. 2000;59(4):595–600. doi:10.1017/s0029665100000847
  2.  Ghezzi P. Role of glutathione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in the lung. Int J Gen Med. 2011;4:105–113. Published 2011 Jan 25. doi:10.2147/IJGM.S15618Sadowska AM. N-Acetylcysteine mucolysi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r Adv Respir Dis. 2012;6(3):127–135. doi:10.1177/1753465812437563
  3.  Tse HN, Raiteri L, Wong KY, et al. High-dose N-acetylcysteine in stable COPD: the 1-year,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HIACE study. Chest. 2013;144(1):106–118. doi:10.1378/chest.12-2357
  4.  Santus P, Corsico A, Solidoro P, Braido F, Di Marco F, Scichilone N. Oxidative stress and respiratory system: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reappraisal of N-acetylcysteine. COPD. 2014;11(6):705–717. doi:10.3109/15412555.2014.898040
  5.  Matera MG, Calzetta L, Cazzola M. Oxidation pathway and exacerbations in COPD: the role of NAC. Expert Rev Respir Med. 2016;10(1):89–97. doi:10.1586/17476348.2016.1121105
  6.  Ayfer Aytemur Z, Baysak A, Ozdemir O, Köse T, Sayiner A. N-acetylcysteine in patients with COPD exacerbations associated with increased sputum. Wien Klin Wochenschr. 2015;127(7-8):256–261. doi:10.1007/s00508-014-0692-4
  7.  Kalyuzhin OV. Effect of N-acetylcysteine on mucosal immunity of respiratory tract. Ter Arkh. 2018;90(3):89–95. doi:10.26442/terarkh201890389-95
  8.  Fundam Clin Pharmacol. 2018 Nov 24. doi: 10.1111/fcp.12437. (NAC and Acetaminophen)
  9.  Fisher ES, Curry SC.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cetaminophen toxicity. Adv Pharmacol. 2019;85:263–272. doi:10.1016/bs.apha.2018.12.004
  10.  Su W, Zhang Y, Zhang Q, et al. N-acetylcysteine attenuates myocardial dysfunction and postischemic injury by restoring caveolin-3/eNOS signaling in diabetic rats. Cardiovasc Diabetol. 2016;15(1):146. Published 2016 Oct 12. doi:10.1186/s12933-016-0460-z
  11.  Bartekova M, Barancik M, Ferenczyova K, Dhalla NS. Beneficial Effects of N-acetylcysteine and N-mercaptopropionylglycine on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the Heart. Curr Med Chem. 2018;25(3):355–366. doi:10.2174/0929867324666170608111917
  12. Zaki SM, Abdalla IL, Sadik AOE, Mohamed EA, Kaooh S. Protective Role of N-Acetylcysteine on Isoprenaline-Induced Myocardial Injury: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Morphometric Study. Cardiovasc Toxicol. 2018;18(1):9–23. doi:10.1007/s12012-017-9407-1
  13. Marian AJ, Tan Y, Li L, et al. Hypertrophy Regression With N-Acetylcysteine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ALT-HCM):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Pilot Study. Circ Res. 2018;122(8):1109–1118. doi:10.1161/CIRCRESAHA.117.312647
  14.  Gunturk EE, Yucel B, Gunturk I, Yazici C, Yay A, Kose K. The effects of N-acetylcysteine on cisplatin induced cardiotoxicity. Bratisl Lek Listy. 2019;120(6):423–428. doi:10.4149/BLL_2019_068
  15.  Bauer IE, Green C, Colpo GD, et al.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Aspirin and N-Acetylcysteine as Adjunctive Treatments for Bipolar Depression. J Clin Psychiatry. 2018;80(1):18m12200. Published 2018 Dec 4. doi:10.4088/JCP.18m12200
  16. Miyake N, Miyamoto S. Nihon Shinkei Seishin Yakurigaku Zasshi. 2016;36(2):29–35.
  17.  Rapado-Castro M, Dodd S, Bush AI, et al. Cognitive effects of adjunctive N-acetyl cysteine in psychosis. Psychol Med. 2017;47(5):866–876. doi:10.1017/S0033291716002932
  18.  Adeoye O, Olawumi J, Opeyemi A, Christiania O. Review on the role of glutathione on oxidative stress and infertility. JBRA Assist Reprod. 2018;22(1):61–66. Published 2018 Mar 1. doi:10.5935/1518-0557.20180003
  19.  Nemati M, Nemati S, Taheri AM, Heidari B. Comparison of metformin and N-acetyl cysteine, as an adjuvant to clomiphene citrate, in clomiphene-resistant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J Gynecol Obstet Hum Reprod. 2017;46(7):579–585. doi:10.1016/j.jogoh.2017.07.004
  20.  Jannatifar R, Parivar K, Roodbari NH, Nasr-Esfahani MH. Effects of N-acetyl-cysteine supplementation on sperm quality, chromatin integrity and level of oxidative stress in infertile men. Reprod Biol Endocrinol. 2019;17(1):24. Published 2019 Feb 16. doi:10.1186/s12958-019-0468-9
  21. Dludla PV, Dias SC, Obonye N, Johnson R, Louw J, Nkambule BB. A Systematic Review on the Protective Effect of N-Acetyl Cysteine Against Diabetes-Associate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m J Cardiovasc Drugs. 2018;18(4):283–298. doi:10.1007/s40256-018-0275-2
  22. Dludla PV, Mazibuko-Mbeje SE, Nyambuya TM, et al. The beneficial effects of N-acetyl cysteine (NAC) against obesity associated com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of pre-clinical studies. Pharmacol Res. 2019;146:104332. doi:10.1016/j.phrs.2019.104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