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저는 보험회사로부터 심각한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제 환자와 관련된 한 통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편지는 바로 보험회사가 해당 환자가 화학 항암 요법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구토와 구역질의 증상 완화를 위해 복용한 생강 보충제의 비용을 보험으로 지급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러한 편지와 함께 안에는 이러한 결정을 뒷받침하는 연구 내용이 동봉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점에 흥미를 느낀 필자는 생강과 그의 건강 효능에 대해 알아보아야 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필자가 배운 생강의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강이란 무엇인가?

생강의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이며 그 뿌리는 Rhyzomus zingiberus라는 학명으로 불립니다. 생강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화훼 식물로 그 뿌리는 중국과 인도, 폴리네이사와 아프리카의 전통 약재로 쓰이고 있습니다.

아유르베다 약재와 전통 중국 약초학(TCM)에는 생강의 특성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생강의 약효 성분은 진저롤(Gingerol)과 쇼가올(Shogaol)입니다. 이러한 약효 성분은 익히지 않은 생강에 가장 많이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강을 익히지 않고 먹는 것을 즐기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강을 보충제와 차의 형태로 섭취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생강과 구토 그리고 구역질

구토와 구역질, 특히 암 환자의 구토와 구역질에 미치는 생강의 효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압둘 아지즈 박사(Dr. Abdul-Aziz)와 그의 연구진은 생강이 바로 강력한 항 구토 약물인 오단세트론(Odansetron, Zofran)이나 팔로노스테론(Palonosetron, Aloxi)가 영향을 미치는 두뇌 영역과 동일한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생강을 복용한 환자의 구역질 증상이 40-50 퍼센트 가량 감소한다는 사실 또한 밝혀졌습니다.

생강과 입덧

임신 기간 중 입덧을 하는 임산부는 최대 70 퍼센트에 이릅니다. 이러한 입덧은 보통 임신 초 12 주 정도까지 나타나지만, 경우에 따라 20주까지 지속되는 수도 있습니다. 임산부의 입덧에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요법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 생강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12년, 딩 박사(Dr. Ding)가 발표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총 5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된 5 건의 임상 연구를 분석한 결과, 하루에 1,000-4,000 mg의 생강 권장량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태아에게 독성을 미친다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2014년, 영양학회지(Nutrition Journal)에 발표된 연구에서도 1,278명의 여성을 연구한 결과 생강이 입덧의 구역질과 구토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2016년, 통합 의학 연구(Integrative Medicine Insights)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생강은 입덧 증상 완화에 있어 위약보다 월등한 효과를 보였으며, 효과는 비타민 B6와 비견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과학적 연구 결과와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많은 임산부는 입덧 증상 완화를 위해 생강을 가장 먼저 복용하거나 처방 약물과 함께 섭취합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 허브 관련 약물을 복용하시려면, 사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생강과 설사, 특히 여행자 설사

생강은 보통 “배앓이”라고 부르는 바이러스성 장 질환에 특효를 보입니다. 이탈리아의 소화기 병리학자인 카나니 박사(Dr. Canani)는 2018년에 발표한 연구 논문을 통해 소아 환자에게 생강을 투여한 결과, 구토 증상이 20 퍼센트 감소하고 질환으로 인한 학교 결석 일수가 28 퍼센트가량 감소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유사한 연구가 미국에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정 국가로 여행할 경우, 세균성 설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여행자 설사라고 부르는 이 장 질환의 경우, 전 세계에 걸쳐 넓은 지역에서 발병하는데, 이는 대장균(E. coli)의 비정상적 증식 때문에 잦은 설사와 탈수 증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대장균에서 분비된 독성 물질은 장 세포에 결합하여 설사를 일으킵니다. 첸 박사(Dr. Chen)가 발표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생강은 바로 이 독성 물질이 세포에 결합하는 바로 그 부위에 결합하여 독성 물질의 결합을 방해함으로 설사 증상을 완화한다고 합니다. 첸 박사는 생강이 여행자 설사 치료 시 처방 약물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생강과 구강 질환

의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획기적인 발견 중 하나는 우리의 구강 건강이 몸 전체의 건강과 관련이 있으며, 치아 관리와 잇몸 관리는 건강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 것입니다. 2016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생강즙이나 로즈메리, 그리고 금잔화가 구강 세균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의약품인 사이클로헥시딘(Clorhexidine)과 비슷하다고 밝혔습니다.

에스라미 박사(Dr. Eslami)와 그의 연구진이 2015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강은 효모 관련 구강 질환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생강의 항균 효능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티와리 박사(Dr. Tiwari)가 2016년 리뷰 논문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생강은 소염 효과와 항산화제 효능은 치은염과 구강암 발병의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구강 건강을 위해 티와리 박사는 생강을 기본으로 하는 구강 세정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도록 강력하게 추천하고 있습니다. 생강을 원료로 한 치약을 사용하여 칫솔질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생강과 상부 호흡기 감염

전통 의학에서 생강은 바이러스성 상부 호흡기 감염 치료제로 높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강은 COX-2 억제제로서, 근육통 완화와 해열에 있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과 같은 약제)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생강에는 상부 호흡기에 “콜린 억제성 효과(Anticholinergic activity)”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생강은 쌕쌕거리는 천명음을 포함한 호흡기 감염 증상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훌륭한 약재입니다.

생강은 고대로부터 훌륭한 약재로 여겨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항바이러스성 건강 보충제로서의 효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 항바이러스 효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앞으로 더욱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라 하루 2,500 - 4,000 mg의 생강을 섭취하시라고 권장하는 바입니다.

생강과 골관절염

65세 이상 성인의 삼 분의 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골관절염을 앓게 된다는 연구가 많습니다. 골관절염에는 치료법이 따로 없기 때문에 예방과 증상 완화가 그나마 가장 효과적입니다.

발리가 박사(Dr. Baliga)의 연구에 따르면 생강은 다양한 염증 경로에 작용하여 관절의 염증을 감소시키므로 관절염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고통스러운 통증을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비스테로이스성 항염증제(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과 같은 약제)와 마찬가지로 생강은 COX-2 억제제 역할을 통해 관절의 염증을 감소시키며, 관절염의 원인인 관절 연골 파괴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권장 복용량: 하루 2,500 - 4,000 mg.

생강과 당뇨병

전 세계 인구의 체중이 전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당뇨 질환 역시 더욱 보편적인 질병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늘날 태어나는 어린이 세 명 중 한 명은 당뇨를 앓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지만, 당뇨는 광범위한 말단 장기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당뇨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혈관 질환과 신경 질환입니다. 하지만, 우리 몸의 거의 모든 장기는 당뇨 질환에 영향을 받습니다. 당뇨로 인한 합병증은 지속적인 혈당치 상승이나 고혈당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이밍 박사(Dr. Yiming Li)가 발표한 리뷰 논문에는 생강이 고혈압 관련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 박사는 생강이 혈당 조절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고 밝혔습니다. (인간에게는 허용되지 않는 생강 용량인 800 mg/kg에 해당하는) 고농도의 생강을 투약한 쥐의 경우, 당뇨 질환이 있는 대조군 쥐에 비해 혈당 수치가 24-53 퍼센트까지 감소했다고 합니다. 해당 연구에서 생강은 지방간, 신장 질환, 신경 질환 및 백내장과 같은 당뇨 합병증에서 간과 신장, 신경과 눈을 보호한다는 사실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간헐적 단식이나 저탄수화물 식사와 같은 생활 습관 역시 당뇨 질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생강과 건강 전반

생강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그 효능은 이 블로그에서 이루 다 다룰 수 없을 것입니다. 생강의 효능과 활용 방법에 관련된 수백여 건의 과학적 연구 결과와 논문이 이미 발표되어 왔으며, 생강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매년 발표되고 있습니다. 생강은 음식이나 보충제 또는 에센셜 오일로도 자주 사용되며, 허브차로도 음용됩니다. 생강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참고 문헌:

*이번 블로그 글과 관련하여 연구를 도와준 오스틴 보우든(Austin Bowden, BS)에게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

  1. Lee, Jiyeon, and Heeyoung Oh. “Ginger as an Antiemetic Modality for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cology Nursing Forum, vol. 40, no. 2, 2013, pp. 163–170., doi:10.1188/13.onf.163-170.
  2. Mbaveng, A.t., and V. Kuete. “Zingiber Officinale.” Medicinal Spices and Vegetables from Africa, 2017, pp. 627–639., doi:10.1016/b978-0-12-809286-6.00030-3.
  3. Semwal, Ruchi Badoni, et al. “Gingerols and Shogaols: Important Nutraceutical Principles from Ginger.” Phytochemistry, vol. 117, 2015, pp. 554–568., doi:10.1016/j.phytochem.2015.07.012.
  4. T. Al Kury, Lina & Mahgoub, Mohamed & Christopher Howarth, Frank & Oz, Murat. (2018). Natural Nega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5-HT3 Receptors. Molecules. 23. 3186. 10.3390/molecules23123186
  5. Ding, Mingshuang, et al.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Ginger for Pregnancy-Induced Nausea and Vomiting: A Systematic Review.” Women and Birth, vol. 26, no. 1, 2013, doi:10.1016/j.wombi.2012.08.001.
  6. Viljoen, Estelle,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and Safety of Ginger in the Treatment of Pregnancy-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Nutrition Journal, vol. 13, no. 1, 2014, doi:10.1186/1475-2891-13-20.
  7. Lete, Iñaki and José Allué. “The Effectiveness of Ginger in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and Chemotherapy” Integrative medicine insights vol. 11 11-7. 31 Mar. 2016, doi:10.4137/IMI.S36273
  8. Berni Canani, R. Therapeutic efficacy of ginger on vomiting in children affected by acute gastroenteritis.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Geneva, Switzerland, 11 May 2018
  9. Chen, Jaw-Chyun et al Ginger and its bioactive component inhibi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induced diarrhea in mice. J Agric Food Chem. 2007 Oct 17; 55(21): 8390–8397
  10. Mahyari S, Mahyari B, Emami SA, Malaekeh-Nikouei B Jahanbakhsh SP, Sahebkar A,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polyherbal mouthwash containing Zingiber officinale, Rosmarinus officinalis and Calendula officinalis extracts in patients with gingiv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Complement Ther Clin Pract 2016;22:93-8.
  11. Eslami H, Pakroo S, Maleki TE. Is ginger (Zingiber officinale) mouthwash a convenient therapeutic for denture stomatitis? Adv Biosci Clin Med 2015;3:17-23
  12. Tiwari, Ritu. (2016). Pharmacotherapeutic Properties of Ginger and its use in Diseases of the Oral Cavity: A Nar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Oral Research. 7. 1-6. 10.1177/2229411220160201
  13. Chrubasik, S., et al. “Zingiberis Rhizoma: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Ginger Effect and Efficacy Profiles.” Phytomedicine, vol. 12, no. 9, 2005, pp. 684–701., doi:10.1016/j.phymed.2004.07.009
  14. Rahmani, Arshad H et al. “Active ingredients of ginger as potential candidate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via modul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vol. 6,2 125-36. 12 Jul. 2014
  15. Townsend, Elizabeth A et al. “Effects of ginger and its constituents on airway smooth muscle relaxation and calcium regul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cell and molecular biology vol. 48,2 (2013): 157-63
  16. Chang, Jung San et al, “Fresh ginger (Zingiber officinale) has antiviral activity against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human respiratory tract cell lines.”J Ethnopharmacol. 2013 Jan 9; 145(1): 146–151.
  17. Baliga et al,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rthritis. Bioactive food and dietary interventions for arthritis and related inflammatory diseases chapter 41, 2013, ISBN: 978012813821
  18. Yiming Li, Van H. Tran, Colin C. Duke, and Basil D. Roufogalis, “Preventive and Protective Properties of Zingiber officinale (Ginger) in Diabetes Mellitus, Diabetic Complications, and Associated Lipid and Other Metabolic Disorders: A Brief Review,”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2012, Article ID 516870, 10 pages, 2012.